相好不如身 상호불여신호
얼굴 좋은 것이
몸 건강한 것만 못하고
身好不如心 신호불여심호
몸 건강한 것이
마음 착한 것만 못하고
心好不如德好 심호불여덕호
마음 착한 것이
덕성 훌륭한 것만 못하다.
위 내용은 중국 당나라의 마의 선인이 쓴 마의 상서에 나오는 유명한 내용입니다.
마의 선인이 하루는
시골길을 걷고 있는데
나무를 하러 가는 머슴의 관상을 보니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었습니다.
그래서 마의 선인은 머슴에 게
"얼마 안 가서 죽을 것 같으니 너무 무리하게 일하지 말라"라고 당부합니다.
그 머슴은 그 말을 듣고 낙심하여
하늘을 바라보며 탄식을 할 때
산 계곡물에 떠내려오는 나무껍질 속에서 수많은 개미 떼가 물에 빠지지 않으려고 발버둥 치는 것이 보였습니다.
그 머슴은 자신의 신세와 같은
개미들에게 연민을 느끼고 나무껍질을 물에서 건져 개미 떼들을 모두 살려 주었습니다.
며칠 후 마의 선인은
그 머슴을 마주하게 되었는데
이게 웬일인가,
그의 얼굴에 어려 있던 죽음의 그림자는 사라지고 부귀영화를 누릴 관상으로 변해 있었습니다.
마의 선인은 그 젊은 머슴이
개미를 구해준 이야기를 듣고 크게 깨달아 마의 상서 마지막 장에 남긴 말이 바로 위의 글귀입니다.
마음이 곱고 심성이 착하고
남에게 배려하고 베풀어
덕성을 쌓으면
사람의 관상은 은은하게 편안하게 변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선하게 살면
해맑은 얼굴로 꽃 피고
세상을 불편하게 살면
어두운 얼굴로 그늘이 집니다.
마음의 거울이 바로
얼굴이기 때문입니다.
몸을 늙게 만드는 작은 습관들
1. 밤 9시 이후 식사하는 습관
밤 9시 이후에는 우리의 뇌가 휴식에 들어가는 시간으로, 이때 식사를 하는 것은 뇌를 피로하게 만든다.
2. 험담하는 것
욕설이나 막말 등의 부정적인 말을 가장 먼저 듣는 것은 바로 자신의 귀다. 그러므로 부정적인 단어는 뇌를 둔화시킨다.
3. 항상 같은 일상 패턴
회사와 집만 왕복하는 등 매일 정해진 생활만 하는 사람들은 매너리즘에 빠지기 쉽고, 이 매너리즘이 뇌의 기능을 둔화시킨다. 그러므로 가끔은 통근 경로를 바꾸는 등 일상생활에 작은 변화를 주자.
4. 비만
비만은 바로 만병의 근원이자 뇌세포 손상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식생활에 신경 쓰고 운동을 꾸준히 하자.
5. 운동 부족과 수면 부족
하루 종일 몸을 움직이지 않는 데다 밤잠이 모자란 사람들은 운동을 관장하는 뇌 영역이 활성화되지 않는다.
6. 긴장이나 불안
초조함이나 당혹스러움을 느낄 때 뇌의 혈류가 나빠져 뇌의 기능은 자연히 저하된다. 반면 자신이 직면한 상황을 천천히 마주한 뒤 생각하고 행동에 옮기면, 신경세포의 가지가 뇌의 각 영역으로 연동 작용해 사려 깊은 생각이 길러진다.
7. 사람들의 눈을 지나치게 의식하는 것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이 편한 것, 즐거운 일을 적극적으로 할 때 뇌가 성장한다. 사람들의 눈을 의식해 행동이 제한되면 뇌는 성장이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자신의 생각을 소중히 여기자.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의식적으로 처리되는 정보는 (2) | 2024.09.23 |
---|---|
무심코 내뱉는 말이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1) | 2024.09.22 |
자기 마음을 보라 (5) | 2024.09.22 |
직관력이 뛰어난 사람들의 특징 (3) | 2024.09.22 |
부디 자세히 살피고 관찰하여 갑자기 성내고 사납게 굴지 말라 (4) | 2024.09.21 |